직원들을 동기부여하는 일은 효과가 없다. 그들은 언제나 동기부여 되어 있기 때문이다.

리더에게 동기부여의 딜레마는, 그들이 직원들을 동기부여 해야 한다는 책임감을 느끼지만 실상 이 임무가 수행하기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생긴다.

직원(자신만의 동기)←←리더가 부여한 전혀 다른 동기/동기부여의 딜레마

당근과 채찍으로는 컨트롤 할 수 없다.

업무열정을 소유한 사람

1. 기대 수준 이상의 성과

2. 조직을 위한 자율적인 노력

3. 외부 사람들에게 조직과 리더를 긍정적으로 표현

4. 이타적인 행위

5. 조직에서 오래 일한다.

직원들의 평가 과정을 도움으로써 그들이 매일 긍정적 동기부여를 경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동기부여 스펙트럼 모델

-정크푸드(-) 외부/무관심/강요

-헬스푸드(+)연계/통합/내재

정크푸드에 의한 동기부여-단기적 성과, but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현상 복구 or 악화

금전적 보상은 처음 잠깐 참가자들이 건강한 행위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발전을 유지하고 그 결과를 지속하도록 돕는 일에는 처참하게 실패했다.

그렇다면 왜 정크푸드에 의한 동기부여 방식을 사용할까?

-전통적 관행에 문제제기를 하지 않는다.

-긍정적이고 지속가능한 동기부여의 관점을 갖게하는 기술을 익히지 못했다.

-직원들은 자신을 동기부여하는 본질적인 요소를 이해하지 못함→그렇기에 가시적인 금전적 혜택 요구→무언가를 갈망하지만 알지 못하기에 가장 확실해 보이는 인센티브 요구→→관리자도 같은 생각, 직원들이 더 많은 인센티브를 요구할 때 더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느낌

직원들이 고차원적인 동기부여(헬스푸드)를 경험할 때, 조직에는 매우 중요한 변화가 일어난다. 우수한 실적, 창의성, 협업, 생산성 증가→최고의 성과+직원들의 더 나은 삶의 질

상과 벌로 동기부여? 부정적인 방식→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동기부여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가 필요

실적을 위해 직원을 밀어부치면 스트레스, 긴장, 외부적 압력을 가중시킴으로써 성과달성을 저해. 단기 실적에만 초점을 맞추는 전통적인 동기부여 전술은 장기적인 발전을 훼손.

우리는 성장하고 앞으로 나아가기를 바라며, 모든 능력을완전히 발휘하고 싶어한다.

사람들을 동기부여 하는 일은 효과가 없다.→대안은? 동기부여 과학의 핵심

-자율성, 관계성, 역량

자율성

-자신에게 선택권이 있다고 인식하고 싶은 욕구

직원들은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스스로 통제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고 느낄 때 자율성을 경험한다.→지나친자유방임, 불간섭? no!→→적절한 통제력

선수를 큰 소리로 독려하는 행위

-선수의 에너지원천을 내부에서 외부로 바꿈→자율성이 차단→나쁜 성적(능력발휘실패)→→외부적 인센티브(정크푸드)는 자율성을 저해, 그리고 내적 자원의 활용을 방해한다.

-선수들의 경험상 큰 소리로 독려하는 코치는 선수들을 독려하기보다 자기 자신을 위한 이기주의로 코치를 보게 됨

관계성

-타인에게 관심을 기울이거나 타인의 관심을 받고싶은 욕구→인간은 관계속에서 성장하는 존재

사람들을 동기부여하는 일이 효과가 없는 이유중 하나는 다른 사람에게 관계성을 느끼라고 억지로 강요할 수 없기 때문

직원들이 일터에서 어떤 느낌이 드는지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그들의 감정을 헤아리는 기술을 익혀야 한다.

역량

-매일매일 닥치는 도전과 기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자 하는 욕구

'왜'아이들은 '왜'라고 계속 묻는가?→배우고 발전하기를 좋아하기 때문

만일직원들이 일터에서 역량의 욕구를 충족하지 못한다면 자신의 전체적인 역량에 자신감을 잃게될 가능성이 크며, 이는 삶의 모든 측면에서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

인생의 가치를 높힐 수 있는 질물-오늘은 무엇을 배웠지? 얼마만큼 발전했지?

세가지 욕구(자율성, 관계, 역량)중 하나라도 훼손되면 그 여파가 다른 욕구에도 영향을 미친다.-도미노 효과

드라이브-행동의 원인, 동인, 밀어붙이기, 푸쉬

관리자나 회사는 직원들이 자율적 제어를 하려고 지나치게 애쓰지 않아도 되는 회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외부적 요소가 자신을 드라이브하도록 만들지 말고, 스스로 상황을 드라이브 해야 한다.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목적지라면, 자율적 제어는 그것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자율적 제어를 높히는 세가지 방법

-마음챙김, 가치관, 목적

Posted by 타올라라
,